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3권 제4호 (통권116호) 조회수 706
발행 년도 2021년 [발간일: 2021년 12월 31일] 등록일시 2022-01-10 01:24:12
자료명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전통시장 유형화와 분포특성 연구-점포수와 생존율을 중심으로-
저자 이 현 정ㆍ안 영 수ㆍ여 관 현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전통시장 유형화와 분포특성 연구-점포수와 생존율을 중심으로-

주저자: 이현정, 한국지방세연구원 지방재정연구실 부연구위원 / 
공동저자: 안영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소상공인정책연구센터 센터장 / 
교신저자: 여관현,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교수

본 연구는 서울시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하여 전통시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전통시장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전역에 위치하는 181곳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의 변화를 점포수와 생존율로 구분하였으며, 서울시 전역을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 도심권 등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전통시장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권 및 서남권 권역의 전통시장은 점포수의 감소 흐름이 강하였다. 특히, 서북권의 경우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커서 점포수 안정세의 흐름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전통시장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과 대형 유통업체의 상생 협력을 위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전통시장 상권별 특성화 사업의 강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권역별 점포수 증감율과 생존율의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정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전통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며, 지역사회 공동체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전통시장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주제어: 전통시장, 분포특성, 유형화, 잠재프로파일분석, 서울시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 Seoul: Focusing on the number of stores and survival rates

Lee, Hyun Jeong · An, Young Soo · Yeo, Kwan Hyun

This study aims to classified the typ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by applying a potential profile analysis focusing on the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For 181 traditional markets located throughout Seoul, the changes in traditional markets were divided by the number of stores and the survival rat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by reg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entire city of Seoul into five regions: southeast, northeast, southwest, northwest, and downto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trong trend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in the traditional markets in the downtown area and the southwest area. The policy implications of Seoul’s traditional market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policies for win-win cooperation between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retailers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o strengthen the specialized businesses in each commercial district of traditional markets.

Key words : Traditional Marke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Seoul City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1.33.4.55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