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조회수 515
발행 년도 2024년 6월 30일 등록일시 2024-07-04 16:08:10
자료명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 김상우ㆍ김용운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우ㆍ김용운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인사에 대한 권한은 대표적인 목표 달성 수단으로 지방자치 강화의 주된 선결요건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인사권에 대한 학계나 정부의 관심은 자치조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치인사권의 개념에 대한 논의에 기초하여, 상위 법령 및 실무지침에 의해 자치인사권이 현실적으로 제약받는 상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자치인사권의 한계를 되짚어 보았다. 지방자치단체의 인사행정에 대해 규율하는 다양한 법령과 실무적 지침인 「지방공무원 인사실무」 등은 자치인사권의 범위를 실질적으로 제약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방자치단체가 자치법규 등을 통해 다루고 있는 자치인사권의 수준은 인사행정의 다양한 영역 중 소속공무원의 복무관리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거나, 권익보호, 복리후생 등의 개선 수단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치인사권이 갖는 독립적 의미를 확인하고, 실질적 지방자치의 구현을 위한 선결요건으로 자치인사권의 확대의 당위성을 재검토하였다. 


주제어: 자치인사권, 자치조직권, 인사권, 지방공무원 인사실무





A Study on the Substantiv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Autonomous Personnel Rights of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Basic Unit of local Government Cases


Kim, SangwooㆍKim, Youngwoon


The authority over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of local governments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achieving goals in local governments and is a major prerequisite for strengthening local autonomy. Nevertheless, the academic and government interest in autonomous personnel rights is relatively very low compared to autonomous organization rights. This study discussed the independent meaning of autonomous personnel rights as distinct from autonomous organization rights as a requirement for the realization of substantive local autonomy, and the limitations of autonomous personnel rights due to restrictions by higher-level laws and regulations. Various laws and practical guidelines governing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such as “Personnel Practice Guideline for Local Civil Servant,” substantially limit the scope of autonomous personnel rights, and as a result, the autonomous personnel rights that local governments deal with through autonomous law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autonomous laws is limited only to setting standards for the service management of public officials and suggesting means for improving their rights protection and welfare among various area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dependent meaning of autonomous personnel rights and reexamined the justification for expanding autonomous personnel rights as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in reality.


Key words: Autonomous personnel rights, personnel rights, local civil service, local autonomy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