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조회수 338
발행 년도 2024년 6월 30일 등록일시 2024-07-04 15:21:43
자료명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저자 하태영ㆍ이윤주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각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를 전수조사하여 조항별 구성 및 내용을 토대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광역자치단체별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앙정부의 청년기본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청년 기본 조례는 청년정책의 근간이지만 광역자치단체별 차이가 존재하며, 지역 특성 반영 및 청년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청년정책 평가 시스템 구축, 효과적인 정책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자치단체 조례는 중앙정부의 법과 유사한 목적과 목표를 지향함과 동시에 지역 환경과 상황을 고려한 특성이 드러날 때 정책적 효과로 직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시행한 광역자치단체 청년 기본 조례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고려한 청년정책 방향 설정 및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청년, 청년정책, 청년 기본 조례, 광역자치단체





Analysis of Youth Ordinances Across National Metropolitan Governmnets 


Ha, Taeyoung ㆍ Lee, YunJoo 



I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basic youth ordinances of the 17 national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ies was conducted, analyzing their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each provision. Through th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ies were examined, as well as how they differ from the central government's Basic Act on Youth.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the basic youth ordinances form the foundation of youth policies,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ies. It was identified that efforts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d expand youth participation, along with establishing a youth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ing effective policy opera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basic youth ordinances of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ies conducted in this study, it aims to contribute to setting and improving youth policy direction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Key words: Youth, Youth Policy, Basic Youth Ordinance,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y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