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조회수 474
발행 년도 2024년 3월 31일 등록일시 2024-04-06 13:17:57
자료명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 -형식적 참여집단 및 비참여 전향집단을 중심으로-
저자 김지영ㆍ정문기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 -형식적 참여집단 및 비참여 전향집단을 중심으로-


주저자 : 김지영, 교신저자 : 정문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조직 내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민참여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간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참여 활성화 요인에 주목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동일한 참여주민들의 풀(pool) 안에는 적극적인 참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형식적’인 참여자와 참여를 중단하는 ‘비참여 전향자’ 역시 속해있음을 발견하고 이에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에 중점을 두었다. 다시 말해 적극적 참여자 주민들과 대조적으로 형식적 참여주민들이 왜 그러한 소극적인 행동을 보이는지, 그리고 비참여 전향집단이 왜 참여하지 않게 되는가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실시한 「2022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극적 참여자 대비 형식적 참여자 및 비참여 전향자로 분류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낮은 인식, 일반적인 신뢰의 결여, 포용성에 대한 높은 인식이 형식적 참여 및 비참여 전향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정부에 대한 신뢰가 증가함에 따라 형식적 참여집단에 속할 확률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주민참여 제도를 통해 주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구성원 간의 상호신뢰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보다 효과적인 주민참여 및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주민참여, 형식적 참여, 비참여 전향,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A Study on Factors Inhibiting Particip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Systems: Focusing on ‘Formal Participation Groups’ and ‘Non-Participation Oriented Groups’


Kim, Ji-Young · Jeong, Moon-Gi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factors that imped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participation.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factors activating participation, focusing only on the participants. But this study found that not only active participation occurs in the same pool of participating citizens, but also ‘formal’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 oriented’ citizens who stop participating. So, this study delves into why formal participants exhibit passive behavior and why non-participation converts their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data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2022)」 to empirically analyze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classification as groups. As a result, low perception of socioeconomic status, lack of general trust, and high perception of inclusiveness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formal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oriented groups. In addition, trust in the governmen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formal participation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ic approach for local governments to encourage sustained citizen participation. And also local governments have to enhance mutual trust among community members. This approach will realize more effective particip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in the local community.


Key words: Citizen Participation, Formal Participation, Non-Participation Orienta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4.36.1.57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