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조회수 740
발행 년도 2024년 12월 31일 등록일시 2024-01-18 14:20:08
자료명 지방소멸의 전국적, 지역적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저자 신 호 철ㆍ오 창 석ㆍ정 경 훈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방소멸의 전국적, 지역적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주저자 : 신호철, 교신저자 : 오창석, 공동저자 : 정경훈


본 연구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지방소멸 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반전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스다 외(2014)가 제시한 지방소멸위험지수와 전출입을 고려해 수정된 지방소멸위험지수를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 시군구 단위의 패널 데이터로 구축한 뒤 전국 단위와 5개 광역 지역권 단위, 일반인구감소인구감소 관심지역 단위에서 pooled OLSPCSE 계량 모형을 사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방소멸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수로는 치안, 교통, 생활편의시설, 문화시설, 의료, 교육, 고용, 소득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영역을 대표하는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종사자 1인당 소득(GRDP), 제조업과학기술서비스업 일자리 수, 공교육사교육 접근성, 교통 인프라 관련 변수들이 전국적 차원에서 지방소멸 위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광역 지역별로 차등화된 요인들을 분석했을 때 1인당 소득이나 일자리, 교육 관련 변수들은 여러 지역에서 지방소멸 위험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통 관련 접근성의 개선은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제주권에서, 의료 관련 접근성의 개선은 호남권과 강원제주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요하다고 추정되었다. 지역을 일반, 인구감소지역, 인구감소 관심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1인당 소득과 교육, 교통, 생활인프라 관련 변수가 인구감소지역에서 중요하다고 추정되었고 일자리, 교육, 교통, 의료 관련 변수가 인구감소 관심지역에서 중요하다고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조업과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와 1인당 소득의 증가가 필요하며 교육 및 교통 접근성 개선에도 적극적 투자가 필요하다.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일자리 수 증가보다 교육, 교통, 생활 인프라 투자가 좀 더 필요하며 인구감소 관심지역에서는 교육, 의료, 교통 인프라 투자와 더불어 제조업 및 첨단산업 일자리 확충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지방소멸, 지방소멸위험지수, 지역별 요인, 인구감소지역, 지역균형발전



An Exploratory Study of the National and Local Causes of Local Extinction: Focusing on the Econometric Models

 

Shin, Ho chul · Oh, Chang seok · Jung, Kyung hu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local extinction phenomenon and find policy implications to reverse it.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s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proposed by Masuda et al. (2014) and a modified local extinction risk index that takes into account internal migration to construct panel data at the municipal level across the country from 2013 to 2021, and then conducts analyses using pooled OLS and PCSE econometric models at the national level, five metropolitan areas, and general, depopulated, and sub-depopulated areas. The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include variables representing various areas in the areas of public security, transportation, living amenities, cultural facilities, healthcare, education, employment, and inco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ariables related to GRDP per employment, the number of jobs in manufacturing and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s, access to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at the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ing the factors differentiated by metropolitan area, variables related to income, jobs, and educa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local extinction risk in various regions, and improvements in transportation access were estim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pital area, Chungcheong region, and Gangwon-Jeju region, and improvements in healthcare access were estim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onam region and Gangwon-Jeju region. When dividing the regions into general, depopulated, and sub-depopulated areas, income,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living infrastructure variables were estimated to be important in depopulated areas, and jobs,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healthcare variables were estimated to be important in sub-depopulated area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jobs and income by fostering manufacturing and high-tech industries, and to actively invest in improving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access. Investment in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living infrastructure is needed more than job growth in depopulated area, a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xpanding jobs in manufacturing and high-tech industries in addition to investment in education, healthcare,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sub-depopulated area.


Key words : local extinction, local extinction risk index, regional factors, depopulated area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3.35.4.133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0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24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8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05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89
119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지방공기업의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중심으로-
송 민 선ㆍ우 윤 석ㆍ손 종 민 229
1197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군위군 행정구역 통합 과정 분석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최 유 미ㆍ엄 태 호 203
119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광역구역통합추진 과정에서의 공론화 쟁점과 함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김 선 영 188
119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헌법적 자치특례 강화의 효과 추정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오 수 미ㆍ김 학 홍ㆍ하 혜 수 168
119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우ㆍ김용운 487
119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역문화재단의 경영자의 특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만수ㆍ이윤석 278
119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역경계 설정오류 분석
전광섭ㆍ윤준희 329
119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의 등록규제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김흥주ㆍ강인호 315
119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육성방안 연구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정책중요도 분석-
이혜원ㆍ김상민 266
118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ㆍ홍근석ㆍ문소영 304
118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294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