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조회수 435
발행 년도 2023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23-11-06 16:36:46
자료명 사회서비스의 환경과 시・도 사회서비스원의 운영성과 분석
저자 허 아 랑ㆍ김 예 린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사회서비스의 환경과 시도 사회서비스원의 운영성과 분석


주저자: 허아랑 교신저자: 김예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성과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의식하에 시도 사회서비스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운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각 지역별 환경분석을 토대로 로직모델에 기반하여 투입에서부터 결과까지 분석하였으며,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투입 측면에서 대부분의 사회서비스원은 경영, 위탁시설 운영, 민간시설 및 종사자 지원, 연구 등 4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활동은 대부분 법령상 제시된 주요 사업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사회서비스 수급 계획 수립의 지원 활동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셋째, 산출과 결과의 경우 사업 수와 이용자 만족도의 지역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효율성과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높은 지역은 5(인천, 경남, 광주, 세종, 대구)로 나타났으며,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져도 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반드시 이용자 만족도를 이끌어내는 것은 아니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의 지역별 특성과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을 고려하여 사회서비스 수급 계획을 명확히 수립해야 한다. 둘째,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응하여 안정적 공급뿐만 아니라 내실화 측면에서 품질 제고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서비스 종사자를 위한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사회서비스의 충분한 예산 확보를 통해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다섯째, 도 사회서비스원은 사회서비스 제공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서 공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 여섯째, 수요대비 공급이 많은 지역은 기관 고유의 기능 강화 및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며, 수요가 많은 지역은 사회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원을 중심으로 운영성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자료 수집의 한계로 모든 사회서비스원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이는 향후 후속 연구로 남긴다.


주제어: 사회서비스, 도 사회서비스원, 사회서비스 성과

 

Social Service Environ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egional Public Agencies for Social Services in South Korea

 

Heo, A Rang · Kim, Yeh Lin

 

This study is focused on performance of social services, through analyzing 10 regional social service agencies’ performanc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each local agency, this research conducts demand-supply analysis. Second, analyzing each agency’s performance based on logic model. Third, to understand agencies’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used as a methodology.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when regional social service agency establish the social service demand-supply plan for its community, it shoul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ts service context. Second, to deal with complex demand of social services in these days, each agency put effort to provide stable services and promote the quality of services as well. Third, in aspect of human services, social workers are the key factor of deciding quality of service. To ensure the good quality of services, sufficient support for workers is needed. Fourth, ensure and maintain agency’s main services effectively, sufficient budget of agency is necessary. Fifth, as their role of leading social services in Korea, each agency should put its emphasis on publicness. Based on analysis of the service environment and effectiveness, it is evident that pursuing quality improvement through service quality management. However, specific strategies may v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areas. In areas where there is an excess of supply compared to demand, institutions should concentrate on their core functions to establish themselves as a leading service provider. They should als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n the other hand, in areas with high demand, the focus should be on supporting other institutions within the region to enhance overall service quality.


Key words : social services, regional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performance of social services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3.35.3.61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0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25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8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05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90
119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지방공기업의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중심으로-
송 민 선ㆍ우 윤 석ㆍ손 종 민 230
1197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군위군 행정구역 통합 과정 분석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최 유 미ㆍ엄 태 호 204
119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광역구역통합추진 과정에서의 공론화 쟁점과 함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김 선 영 188
119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헌법적 자치특례 강화의 효과 추정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오 수 미ㆍ김 학 홍ㆍ하 혜 수 169
119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우ㆍ김용운 488
119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역문화재단의 경영자의 특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만수ㆍ이윤석 278
119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역경계 설정오류 분석
전광섭ㆍ윤준희 329
119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의 등록규제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김흥주ㆍ강인호 318
119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육성방안 연구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정책중요도 분석-
이혜원ㆍ김상민 268
118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ㆍ홍근석ㆍ문소영 305
118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296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