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5권 제1호 (통권 121호) 조회수 343
발행 년도 2023년 3월 31일 등록일시 2023-05-02 16:02:23
자료명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제도화 경향과 통합적 운영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 조 현 혜ㆍ최 준 규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제도화 경향과 통합적 운영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주저자 : 조현혜, 교신저자 : 최준규

공동체와 주민자치 정책은 생활 중심의 공간을 기반으로 주민의 참여, 상향식 정책추진체계 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지만, 정책의 제도화 흐름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라는 주민주도 활동의 지속가능성 확대를 위해서는 통합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의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 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기능 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지원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 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서로 다른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었다. 둘째, 이해관계자 대상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정책의 통합적 추진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관계자별 민선7, 8기의 공동체 및 주민자치 정책에 관한 만족도 평균은 전반적으로 높으며, 정책관계자별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정책우선순위 분석결과에서는 공동체 및 주민자치 부문의 통합적 지원체계 추진을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자체역량 강화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었으며, 민간부문 자체역량 강화를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풀뿌리 중심형을 선택하였다. 다만 민간부문 자체역량 강화 부문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협치 통합형모델이 가장 높은 적합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대안으로 공동체와 주민자치에 대한 통합지원체계로서 풀뿌리 중심형통합방안과 공동체, 주민자치 및 민관협치 영역까지를 포괄하는 협치 통합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민자치 생태계 차원에서 풀뿌리 참여에서부터 자치계획을 통한 실질적 주민자치의 구현에 이르기까지 통합적 정책목표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기대효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공동체, 주민자치, 통합지원, 주민자치 생태계, 주민참여


A Study on the Systemization of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Operation Foundation: Focusing on the Cases of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Policy in Gyeonggi-do

 

Cho, Hyun Hye · Choi, Jun Kyu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polici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im fo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 bottom-up policy system based on a living space, but the institutionalization flow of policies has been formed through different channels. Howeve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xpand the sustainability of initiative of citizen such as village communities and residents’ associ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policy support by analyzing the cases of policy support functions for village communities and residents’ association in Gyeonggi-do.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pport for village communities and residents’ association was being promoted by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Second,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for stakeholder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need to implement integrated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policies. Third, the averag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for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policies in the 7th and 8th civil elections was generally high,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stakeholers. Fourth, in the policy priority analysis for exper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private sector’s own capabilities was highest in order to promote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in the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sectors, and the ‘root-centered’ was selected as the best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the private sector’s own capabilities.

In this study, as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community and resident autonomy as a policy alternative, a ‘root-centered’ integrated plan and a ‘cooperative governance integrated’ plan covering the areas of community, resident autonomy and public-private cooperation were propos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policy expected effect can be calculated in that it aims for an integrated policy goal from grassroots participation at the level of the resident autonomy eco-system to the implementation of resident autonomy through self-governing plans.

Key words : community, resident autonomy, integrated support, eco-system, citizen participation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3.35.1.89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186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18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효율성의 공간의존성에 관한 연구 -비교잣대경쟁이론의 실증적 검증-
손종민ㆍ한지후ㆍ박지형 115
118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담론 고찰 -Q-방법을 중심으로-
박현환 55
118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보건행정환경 변화의 대응을 위한 보건소 적정 정원관리방안 연구
최지민ㆍ양은진ㆍ임인택 39
118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 -형식적 참여집단 및 비참여 전향집단을 중심으로-
김지영ㆍ정문기 48
118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방의회 정책지원 전문인력의운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역의회 정책지원관을 중심으로-
윤정우ㆍ하병규 57
118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청년, 중장년, 노년층의 지역 계속거주의사영향요인 분석 -자연환경, 안전,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창관ㆍ박선주 54
118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지방소멸의 전국적, 지역적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신 호 철ㆍ오 창 석ㆍ정 경 훈 270
1179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제도분석틀(IAD)을 활용한 지방정부의 비선호시설 입지갈등 해결과정 분석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이 정 일 126
1178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달체계 조직의 기반・구성・운영 관점에서-
이 진 109
1177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자원봉사 비참여자의 참여 의지 제고 요인 연구 -경상남도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한 송 이ㆍ조 병 우ㆍ이 용 모 120
1176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고이즈미 정부의 도시재생정책의 성격 -정책결정의 우발성과 집행의 비정합성-
손 경 우ㆍ이 영 철 95
1175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지방정부 성과측정의 제약과 개선에 대한 질적 연구
안 지 선ㆍ이 정 철 120
1174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지방의회의원의 겸직에 대한 담론 -이해관계자의 자결적 주관성을 중심으로-
김 성 근ㆍ이 원 교ㆍ김 민 한 336
1173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조례 입법영향평가의 실효성 제고 방안 -사후 입법평가기준 개선을 중심으로-
박 용 진 191
1172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제주특별법에 나타난 권한 특례 유형 분석
민 기ㆍ하 혜 수 173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