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4권 제3호 (통권 119호) 조회수 587
발행 년도 2022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22-11-08 16:45:29
자료명 지방재정지출 구조와 지역회복력의 관계 -인과관계 방향의 실증적 탐색-
저자 양 은 진ㆍ이 장 범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방재정지출 구조와 지역회복력의 관계

-인과관계 방향의 실증적 탐색-


주저자 : 양은진, 교신저자 : 이장범


본 논문은 지방재정지출의 구조와 지역회복력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와그너 법칙과 케인스 가설을 응용하여 실증적으로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의 재정지출 결산액 데이터와 지역회복력 관련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재정지출 구조와 지역회복력의 관계에 대한 인과성을 그랜저 인과성 검정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그랜저 인과성 검정과 VECM 모두에서 지역회복력이 사회개발비 비중 변화의 원인변수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사회개발비 비중과 지역회복력이 장기균형점을 향해 증감을 반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와그너 법칙을 응용하여 지방재정지출 구조와 지역회복력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과 동시에 두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위기 상황에서 지역이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된 지식과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지역회복력, 지방재정, 그랜저인과검정, VECM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and Regional Resilience: An Empirical Exploration of the Causality Direction

 

Yang, Eun Jin · Lee, Jang Bum

 

This paper empirically explores the causal direc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local fiscal expenditure and regional resilience by applying the Wagner Law and the Keynesian hypothesis. To this end, this study tested the causality between local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and regional resilience through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using fiscal expenditure settlement data from 2013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regional resilience was a cause variable for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n both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VECM. In addition, through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and regional resilience repeatedly increase or decrease toward the long-term equilibr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and regional resilience can be explained by applying Wagner’s law, while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with various possibilities ope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lated knowledge and policy suggestions so that the region can increase its ability to respond to crises in crisis situations.


Key words : Community resilience, Regional resilience, Local Finance, Granger Causality, VECM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2.34.3.117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0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1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7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0
119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지방공기업의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중심으로-
송 민 선ㆍ우 윤 석ㆍ손 종 민 148
1197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군위군 행정구역 통합 과정 분석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최 유 미ㆍ엄 태 호 118
119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광역구역통합추진 과정에서의 공론화 쟁점과 함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김 선 영 90
119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헌법적 자치특례 강화의 효과 추정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오 수 미ㆍ김 학 홍ㆍ하 혜 수 109
119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우ㆍ김용운 444
119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역문화재단의 경영자의 특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만수ㆍ이윤석 237
119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역경계 설정오류 분석
전광섭ㆍ윤준희 299
119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의 등록규제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김흥주ㆍ강인호 281
119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육성방안 연구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정책중요도 분석-
이혜원ㆍ김상민 229
118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ㆍ홍근석ㆍ문소영 267
118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254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