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3권 제4호 (통권116호) 조회수 1175
발행 년도 2021년 [발간일: 2021년 12월 31일] 등록일시 2022-01-10 01:31:18
자료명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저자 황 해 동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단독저자: 황해동, 전라북도청 전문위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무원 부패는 자원배분의 왜곡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민주화와 경제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이라는 점에서 공직자의 도덕성과 청렴함이 대표적인 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 중에서도 가장 영향력이 높은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지역에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다.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은 기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를 기소현황을 중심으로 접근하였으나, 본 연구는 부패 기준을 사법부의 당선무효 수준의 범죄확정 판결로 설정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부패 현황 외에도 시기별(임기내 및 임기외), 지역별 그리고 반복적인 부패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반복적으로 부패가 발생하는 지역 관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부패 발생요인을 지역토착세력에 의한 조직적 선거활동을 비롯하여 정당공천제의 한계를 제시하였으며, 부패를 완화하기 위해 선거절차의 투명성이 우선되어야 하고 지방의회의 감시권한 강화와 선출직 공무원의 선출횟수 및 교차 출마 제한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민선 8기(전국동시지방선거)를 1년도 채 남겨두지 않은 상태에서 시기적으로 부패에 대해 접근함으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 외에도 2022년부터 시행되는 지방자치법 전면개정으로 인한 지방의회의 권한과 역할에 관한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부패, 공직선거법, 지역토착세력, 정당공천제, 지방의회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rruption Status in Chief of Local Government

Hwang, Hae D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uption status in chief of local governments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The morality and integrity of public officials are emerging as representative requirements in that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s not only distortion of resource allocation but also degrades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society and hinders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evertheless, corruption in the chief of a local government,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among public officials, continues to occur, causing inefficiency in the region.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of the relevant organization changes as the specificity that the chief of local government represents a local government and the influence on the promotion of residents' welfa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re concentrated on the chief of the organization.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was that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rosecution in the chief of local governments, but this study set the corruption standard as a criminal decision at the level of invalidity of election by the judiciary.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general corruption status, the corruption status by period (within and out of office), region, and repetitive corruption statu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policy poin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local officials who repeatedly experienced corru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cluding organized election activities by local forces, should be prioritized to alleviate corruption, strengthen the monitoring authority of local councils, and restrict cross-runs. This study is considered valuable by approaching corruption in a timely manner with less than one year left before the 8th popular election (national simultaneous local elec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authority and role of local councils due to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will take effect in 2022.

Key words : Corruption,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Local Power, Party Nomination System, Council of Local Government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1.33.4.115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