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3권 제3호 (통권115호) 조회수 1025
발행 년도 2021년 [발간일: 2021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21-10-06 23:41:05
자료명 지방행정기관의 재난관리 역량이 자연재난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와 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저자 구 주 영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방행정기관의 재난관리 역량이 자연재난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와 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2021년 한국지방정부학회 하계학술대회(2021. 08. 13)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였습니다. 또한, 논문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논평해주신 심사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단독저자: 구주영,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지역사회는 1차적으로 재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때, 지역사회의 재난관리를 담당하는 다양한 지방행정기관들은 재난을 예방, 대비, 대응 그리고 복구하는 역할을 1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표적인 재난관리 담당조직이자 특별지방행정기관인 경찰과 소방조직,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게 된다. 지방행정기관은 부여된 권한과 책임 그리고 자원 등을 활용하면서 재난관리 역량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각 지방의 지역적, 경제적, 사회적, 시설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상이한 재난관리 역량을 형성 및 보유하게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와 도의 재난관리 역량이 자연재난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역시와 도의 재난관리 역량은 자연재해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자연재난에 대한 광역단위의 재난관리는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도록 시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자연재난, 재난관리 역량, 지방행정기관


The effect of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n the mitigation of natural disasters: A comparison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Koo, Joo Young

 

Communities are directly affected by disasters. The administrative agencies in charge of disaster management in communities play a primary role in preventing, preparing for, responding to, and recovering from disasters. The agencies that most commonly are in charge of disaster management are the police, fire departments, and other local government bodies. These agencies use their authority and resources in support of disaster management. However,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geography, economy, social conditions, and infrastructure of each region.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capabiliti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at mitigating natural disasters.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se cities’ differing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produce different natural disaster mitigation effec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disaster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over wider area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Key words : natural disaster,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y, local administrative agency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