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3권 제3호 (통권115호) 조회수 701
발행 년도 2021년 [발간일: 2021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21-10-06 23:37:06
자료명 코로나19 시대 디지털 기술 수용이 도시주민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저자 최 예 나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코로나19 시대 디지털 기술 수용이  도시주민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단독저자: 최예나,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등으로 인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생활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기술 수용이 시민들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이러한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디지털 기술 수용 요인 중 디지털 기술 유용성 인식 중 뉴스나 새로운 소식에 대한 신속한 인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및 참여기회 증가, 원격근무나 모바일 학습 등으로 인한 효율성 증가와 코로나 이후 디지털 기술 사용인 사회참여, 디지털 기술 환경조건인 인터넷을 이용한 의견 교환 및 공동문제 해결 참여, 디지털 리터러시(신기술 및 제품 활용역량) 및 상호작용(디지털 기기를 통한 정보획득 의도와 신기술 및 제품 활용역량의 증가, 인터넷 이용시 책임성 제고와 신기술 및 제품 활용역량의 증가)이 삶의 조건의 우수성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시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능정보서비스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포용적 디지털 이용환경 조성,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 등을 정책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주제어: 디지털 기술 수용,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포용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in the Era of Covid 19: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Choi, Yena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affects the lives of citizens after COVID-19 and how digital literacy affects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affecting both life conditions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are as follows; Rapid recognition of news through digital devices, increase of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efficiency through remote work or online learning, use for social participation, support for exchange of opinions and joint problem solving, digital literacy. As policy implications, the provis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and customized services closely related to citizens' lives, creation of inclusive digital use environment, and enhancement of digital literacy are suggested.


Key words :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Life Satisfaction, Digital Literacy, Digital Inclusion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57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38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37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39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33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29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27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29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40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34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57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12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48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18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