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3권 제1호 (통권113호) 조회수 949
발행 년도 2021년 발간일: 2021년 3월 31일 등록일시 2021-04-08 14:01:54
자료명 지역 탈석탄 에너지 전환 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변화-충남 당진시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 황보은영, 윤혜원, 윤순진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역 탈석탄 에너지 전환 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변화-충남 당진시 사례를 중심으로-


주저자: 황보은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공동저자: 윤혜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교신저자: 윤순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4단계 BK21사업(대전환기 지속가능도시 혁신인재양성사업단) 사업단장, 지속가능발전연구소 소장, 환경계획연구소 겸무연구원

  
이 연구는 충청남도 당진시의 탈석탄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적 배경과 행위자의 역할 및 이들 간의 상호작용 변화를 분석한다. 지역 에너지 전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석탄화력과 원자력발전소, 송전선로 건설을 둘러싼 지역 갈등에 주목하며 갈등 전개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포함하여 탈석탄 과정에 참여한 다양한 행위자의 역할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여 문헌연구와 주요 행위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토대로 당진시의 탈석탄 에너지 전환 과정의 정책환경과 정책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한다. 아울러, 네트워크의 확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요인과 이를 주도하는 행위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관계 중심의 구조적인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지역 에너지 전환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 지역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네트워크에 있어서 의제가 재산권 등 개별적인 이해관계에 국한되지 않아야 하는데 여기에는 당진환경운동연합과 같이 의제 확장을 이끄는 정보제공자가 필수적이다. 또한 지역적 맥락에 적합한 의사소통 구조와 방식을 구축해야 하며, 에너지 전환에 대한 지지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적극적인 리더십이 마을, 지자체 등 다양한 층위에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중앙집권적 하향식 일변도의 에너지 정책 수립구조를 벗어나 지역・지자체 참여적 상향식 구조의 확장을 촉진하여, 분산형 재생에너지 체제 구축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정책네트워크, 탈석탄 운동, 지역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당진시



Policy Network Change in Local Coal Phase-out Energy Trans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Dangjin, Chungcheongnam-do

Hwangbo, Eunyoung · Youn, Hyewon · Yun, Sun-Ji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as well as roles of and interactions among related actors in the process of coal phase-out energy transition in Dangjin, Chungcheongnam-do. Existing studies on local energy transition have focused primaril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egional conflicts over the construction of coal-fired power plants, nuclear power plants and transmission lines. Also,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roles of and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who participated in coal phase-out includ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organizes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policy network theory and analyzes the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and policy network during the course of coal phase-out energy transition in Dangjin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actors. Furthermore, relationship-centered structural analysis is carried out, covering th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expansion of networks and the key actors who lead the process in the analysis. Through this, this study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local energy transition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nformation providers who lead agenda expansion, such as the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of Dangjin, are essential in the policy network so that the agenda is not limited to individual interests such as property rights. In addition,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methods suitable for local contexts should be established, and active leadership to form supportive public opinion on energy transition needs to be form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villages and local governments. This is expected to promote the transformation of existing centralized top-down only energy policy making structures by expanding bottom-up structures led by regional actors and local governments’ participation, which would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decentralized renewable energy system.

Key words : Policy network, Coal phase-out movement, Local energy transition, Carbon neutrality, Dangjin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169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132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129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134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126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1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121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91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83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97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90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219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5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97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59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