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2권 제3호 (통권111호) 조회수 1401
발행 년도 2020년 발간일: 2020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20-10-14 07:38:31
자료명 근로장려세제 담당자의 악성민원 처리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국세청 소속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저자 김기형, 우윤석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근로장려세제 담당자의 악성민원 처리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국세청 소속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장려세제 운영과 관련한 악성민원 처리현황과 담당자 인식을 국세청 소속 특별지방행정기관(이하 지방청)별로 확인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동 제도가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복지세정 수단으로 자리잡으려면 담당 공무원의 제도이해 및 인식, 악성민원 발생 등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방청별 세무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담당 공무원들이 근로장려세제의 개념과 신청 및 지급절차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동 제도의 필요성이나 효과성, 중요성에 대한 공감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부분의 담당 공무원들이 근로장려세제 처리과정에서 복합민원 등의 악성민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들을 확인한 결과 긍정적 평가를 받을만한 지방청과 부정적 평가를 받을만한 지방청이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B지방국세청 소속 세무서의 담당 공무원들은 근로장려세제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고 악성민원과 관련한 경험이 가장 적으며, 공공봉사동기가 대체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F지방국세청 소속 세무서의 담당 공무원들은 근로장려세제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고 공공봉사동기가 대체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근로장려세제 관련 악성민원을 줄이거나 처리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분야는 제도개선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인 소분류의 경우 제도개선에 해당하는 정산폐지 및 반기 지급제도 개선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의 제도운영 현황 및 담당 공무원의 인식이 지방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악성민원을 중심으로 살펴본 점에서 경험적인 의의가 있고 앞으로의 개선대안과 관련해서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근로장려세제, 악성민원, 국세청 소속 특별지방행정기관


Study on State of the Affairs Regarding Unreaso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against EITC and Perception of Civil Servants in NTS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state of affairs regarding unreason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against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perceptions of whom in charge of 7 National Tax Service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Regional Offices). For EITC to become sustainable and robust tool of welfare tax serv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ture strategy based on evidence derived from that identification. 
Survey analysis is conducted to reveal that civil servants dealing with EITC have enough knowledge about itself and the processing of it while their consensus about necessity, effectiveness or importance of it is relatively low. Also, it is identified that most of them have negarive experiences related to unreason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against ECI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features are strictly identified among other regional offices; civil servants in B regional office have relevant knowledge about EITC, less negative experiences of unreason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and higher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while civil servants in F regional office show the opposite signs of them. Finally, it is suggested by them that improvement in EITC procedure is the most relevant alternative to decrease or deal with unreason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against EITC. 
This results are believed to cast meaningful insight about state of the affairs and perception of whom in charge in different regional offices to develop evidence-based improvement schemes in EITC service for the future.

Key words : Earned Income Tax Credit, Unreasonable & unreasonably persistent civil complaints, National Tax Service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Regional Offices)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0.32.3.161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0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25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8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05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90
119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지방공기업의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중심으로-
송 민 선ㆍ우 윤 석ㆍ손 종 민 230
1197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군위군 행정구역 통합 과정 분석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최 유 미ㆍ엄 태 호 204
119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광역구역통합추진 과정에서의 공론화 쟁점과 함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김 선 영 188
119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헌법적 자치특례 강화의 효과 추정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오 수 미ㆍ김 학 홍ㆍ하 혜 수 169
119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우ㆍ김용운 488
119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역문화재단의 경영자의 특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만수ㆍ이윤석 278
119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역경계 설정오류 분석
전광섭ㆍ윤준희 329
119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의 등록규제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김흥주ㆍ강인호 318
119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육성방안 연구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정책중요도 분석-
이혜원ㆍ김상민 268
118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ㆍ홍근석ㆍ문소영 305
118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296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