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2권 제2호 (통권110호) 조회수 715
발행 년도 2020년 발간일: 2020년 6월 30일 등록일시 2020-07-20 14:35:15
자료명 과소군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거와 대안
저자 정정화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본 연구는 급격한 인구감소로 인해 ‘지방소멸’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과소군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거와 대안을 제시하였다. 과소군 및 읍면의 지위를 기준으로 도출한 8개 개편 대안 가운데 실현가능성과 효과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세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읍면자치형’은 과소군을 행정기관으로 전환해 상위정부에서 단체장을 임명하고, 읍면자치를 실시하는 방안이다. 이 유형은 지방자치 초창기에 도입했던 읍면자치를 부활해 주민들이 직접 읍면근린정부를 구성해 풀뿌리 주민자치를 구현하는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둘째, ‘기관통합형’은 과소군의 기관구성 형태를 현재의 기관대립형에서 기관통합형으로 전환하고, 읍면은 의회는 구성하지 않고 단체장을 주민 직선으로 선출해 준자치단체로 개편하는 방안이다. 이 유형은 과소군의 지위를 현행대로 자치단체로 유지하면서 읍면자치를 보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현가능성이 가장 높은 대안으로 평가된다. 셋째, ‘읍면연합정부형’은 읍면자치를 실시하면서 과소군은 읍면연합정부(특별지방자치단체) 형태로 구성하는 방안이다. 이 유형은 가장 획기적이며 새로운 자치모델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과소군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통해 지방정부의 기관구성 다양화는 물론 3층제, 단층제 등 다양한 자치계층을 도입함으로써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자치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과소군, 지방행정체제, 인구감소, 기관구성, 지방소멸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20.32.2.145

The Rationale and Alternatives for the Reform of Local Government Structure of Depopulation County

Jeong, Jeong Hwa

This study suggests the rationale and alternatives for the reform of the local government structure of depopulation county when local extinction is concerned due to the rapid population decline. Among the eight reform alternatives derived based on the status of depopulation county, town, and township, three alternatives are suggest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First, the “self-governing town and township” type is to convert the depopulation county into an administrative agency and appoint a head of a local government (i.e., governor) from the upper government. This type has great significance in implementing resident autonomy by forming neighborhood town and township government by the residents and reviving self-governing town and township, which was introduced in the early days of local government.
Second,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type is to transform the institutional form of depopulation county from institutional separation to institutional integration. In this type, town and township do not form a local council but reorganize them into a quasi-local government where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s elected by the residents. This typ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feasible in that it complements the self-governing town and township while maintaining the status of the depopulation county as the current local government.
Third, the “coalition government of town and township” type is to implement self-governing town and township while the depopulation county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the coalition government of town and township (special-purpose local government). This type is considered as the most innovative autonomous model.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present an autonomous model that conforms to local characteristics by introducing various autonomous classes (e.g., single-tier system and three-tier system) as well as diversifying the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reform of local government structure.

Key words : depopulation county, local government structure, composition of institution, local extinction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0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125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8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05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90
119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지방공기업의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중심으로-
송 민 선ㆍ우 윤 석ㆍ손 종 민 230
1197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군위군 행정구역 통합 과정 분석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최 유 미ㆍ엄 태 호 204
119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광역구역통합추진 과정에서의 공론화 쟁점과 함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김 선 영 188
119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3호 (통권 127호) [9월 31일]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헌법적 자치특례 강화의 효과 추정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오 수 미ㆍ김 학 홍ㆍ하 혜 수 169
119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자치인사권의 현실적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우ㆍ김용운 488
119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역문화재단의 경영자의 특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만수ㆍ이윤석 278
119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역경계 설정오류 분석
전광섭ㆍ윤준희 330
119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의 등록규제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김흥주ㆍ강인호 318
119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육성방안 연구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정책중요도 분석-
이혜원ㆍ김상민 268
118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ㆍ홍근석ㆍ문소영 305
1188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2호 (통권 126호) [6월 30일]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청년 기본 조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하태영ㆍ이윤주 296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