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1권 제2호 (통권106호) 조회수 1007
발행 년도 2019년 발간일: 2019년 6월 30일 등록일시 2019-08-16 19:28:46
자료명 무효투표에 대한 이론별 영향요인 연구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시・군・구 자료를 중심으로-
저자 권은주 김순은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무효투표 연구는 정치적 불만과 소외 및 투표시스템의 결함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
다. 이에 본 연구는 무효투표에 대한 대표적인 네 가지 모델을 통해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229개 시・군・구 무효투표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독립변수로는 투표능력 모델(대학재학이상비율, 고령인구비율, 다문화가구비율), 사회적 소외 모델
(군 지역 더미, 수급자 비율, 인구 천명당 종사자 수), 제도적 모델(사전투표자 비율), 정치적 모델(투표
율, 유효후보 수, 1, 2위 후보 득표차)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적 모델(유효후보 수, 1, 2위 후보 득표차), 투표능력 모델(대학재학이상비율), 사회적
소외 모델(군 지역 더미), 제도적 모델(사전투표자 비율)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의 무효투표가 정치상황에 대한 합리적 반응의 결과로 발생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사전투표율이 높을수록 가설과 반대로 무효투표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사전투표 방식이 무효표를
증가시킬 위험성에 대해 검토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무효투표, 대통령 선거, 시군구 집합자료, 투표행태, 무효투표 이론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19.31.2.353

Explaining Levels of Invalid Votes with Four Theoretical Models: Analysis of the 19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Outcomes

Kwon, Eun Joo · Kim, Soon Eun

Studying invalid vote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etect political dissatisfaction,
alienation and specific flaws in the voting system.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relevant variables from four theoretical models of invalid voting. To this end, drawing
on evidence from the data of 229 lower level local autonomies of the 19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s the Incompetence model (Fraction of population with college or
higher level of education, ratio of aged people, ratio of multicultural family), social
marginality model (urbanizatio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rate,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per thousand people), polity model (ratio of early voter),
political model (voter turnout, effective number of presidential candidates, Leading
margin at electoral unit leve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bles, the political model (number of valid
candidates, the number of votes cast for the first and second place), Incompetence
model model (the ratio of college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social marginality model
(the pile of military districts), and polity model (the proportion of pre-voters), were
significant. This has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invalid ballots in South Korea were
the result of a rational response to the political circumstance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hat proposed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early voters, the higher the ratio
of invalid voters, which is opposed to the hypothesi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the
existing way of early voting should be precisely reviewed because it has a risk of
systemically increasing the invalid votes.

Key words : Invalid votes, presidential election, aggregate data, electoral behavior. invalid voting
theories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169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132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128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134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126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120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121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91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82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96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90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218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5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97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59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