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자료검색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582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432 2008년 학술대회 자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발간일 : 2008년 02월 15일]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 시민사회적 관점
진세혁 4293
1431 2002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4권 제3호 (통권39호) [발간일 : 2002년 09월 30일]
님비형 국방시설의 외부성 갈등 조정에 관한 연구
김천영 4288
1430 2006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8권 제4호 (통권56호) [발간일 : 2006년 12월 30일]
지방행정조직에서의 창의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배병룡 4287
1429 200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6권 제1호 (통권45호) [발간일 : 2004년 03월 31일]
지역문화행사에서 방문객의 관광행동에 관한 연구
하영수 4282
1428 200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6권 제2호 (통권46호) [발간일 : 2004년 06월 30일]
노인교육프로그램 수강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수도권의 노인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이상윤
이종수
4281
1427 2007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9권 제2호 (통권58호) [발간일 : 2007년 06월 30일]
신자유주의의 레짐 이동(Regime Shift)에 따른 로컬 거버넌스의 형성에 관한 연구
유영철 4279
1426 1991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권 제1호 (통권4호) [발간일 : 1991년 03월 30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통제의 연구
박준수 4276
1425 200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7권 제3호 (통권51호) [발간일 : 2005년 09월 30일]
대도시에 있어서 민간건설 공공임대주택의 수요자 특성분석
이규환
강호석
4276
1424 2008년 학술대회 자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발간일 : 2008년 02월 15일]
차기정부의 지방정책과제 : 업그레이드된 지방분권정책 추진
주용학 4275
1423 200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5권 제4호 (통권44호) [발간일 : 2003년 12월 31일]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지방공무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종욱
서상혁
4266
1422 200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7권 제4호 (통권52호) [발간일 : 2005년 12월 31일]
지방정부의 전략경영 도입사례 분석 - 부산광역시 ‘SMART부산21’계획을 중심으로 -
류재현 4265
1421 199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7권 제2호 (통권13호) [발간일 : 1995년 06월 30일]
조직진단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조직개편
하태권
최영출
4263
1420 2002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4권 제2호 (통권38호) [발간일 : 2002년 06월 30일]
행정서비스헌장제 평가지표개선 연구-APH방법론의 적용-
최영출
하혜수
4263
1419 1996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8권 제4호 (통권17호) [발간일 : 1996년 12월 30일]
국제공항입지가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최용호 4261
1418 2002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14권 제2호 (통권38호) [발간일 : 2002년 06월 30일]
지방정부의 전략적 성과관리체제 구축 사례연구 -Balanced Scorecard의 응용을 중심으로-
최은석
안희정
4257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