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조회수 120
발행 년도 2025년 3월 31일 등록일시 2025-04-09 12:13:46
자료명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저자 고 현 수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등의 다양한 이상 기후가 발생하고 있고, 과다한 온실가스 배출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경기도 지자체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하고, 지자체별 특성을연구하여 국가와 지자체의 탄소중립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군집분석은 단년도 및 다년도(합계) 배출량 자료로 계층적 군집분석과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총 6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단년도의 경우 高배출⋅高생산⋅多수송형, 中배출⋅ 低생산형, 中배출⋅도시형, 高배출⋅高산업⋅高폐기물형, 中高배출⋅高에너지⋅흡수형, 中低배출⋅ 低에너지형으로 분류하였다. 다년도(합계)는 高배출⋅高생산형, 中高배출⋅高수송⋅기타형, 高배출⋅ 高생산⋅低폐기물형, 高배출⋅高생산⋅多수송형, 高배출⋅高산업⋅高폐기물형, 中低배출⋅低에너지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자체 및 군집의 특성을 고려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자체 군집 유형이 변할 수 있으므로 정책이행 과정에서 탄력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지자체의 역할과 권한을 제도적으로 확대하여 해당 지자체에 필요한 실질적인 탄소중립실현 정책을 수립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주제어: 탄소중립, 온실가스 인벤토리, 군집분석, 온실가스 배출 유형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Local Authorities of Gyeonggi-do


Ko, Hyeon Su


Currently, various abnormal climate event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are occurring worldwide, with excessive greenhouse gas emissions identified as the main cause. In order for Korea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and achieve carbon neutralit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2050 Carbon Neutrality policy by analyz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31 local authorities in Gyeonggi-do, given the ongoing global abnormal climate phenomena caus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ingle-year and multi-year emission data, resulting in a total of six clusters. After clustering, the groups were named based o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policy direction can be proposed: the 2050 Carbon Neutrality strategy should be categorized into regionspecific policies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emission types.


Key words : carbon neutrality, greenhouse gas inventory, cluster analysis, type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213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21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춘천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정 분석
김 경 숙⋅주 한 나 169
1212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서울시 거주 청년들의 주거불안과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탐색
김 지 영⋅정 문 기 132
1211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책지원관 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홍 상 우⋅김 동 욱⋅이 대 웅 129
1210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과 정책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중앙 및 지방 공무원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구 주 영 134
1209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주민소송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하 혜 영 126
1208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 현 수 121
1207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무엇이 지방정부 간 현금성 복지정책사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비교경쟁이론의 관점에서
신 영 민 121
1206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고향사랑기부제 정책 시행의 지역경제효과 실증 분석
박 승 규 91
1205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주민자치회 참여의 행정적⋅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김 정 규 83
1204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통권 129호) [3월 31일]
지역공동체의식과 행복, 그리고 지역정주의향의 관계: 도시 규모에 따른 차별적 효과
구 기 환 96
1203 2025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7권 제1호 (통권 129호) [3월 31일]
행정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유인설계: 공무원 여비규정을 중심으로
양 채 열ㆍ박 치 성 90
120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시민의 정치이념과 공공가치 인식: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김 명 환 218
120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제적 성과 분석: 통제집단합성법의 적용
백 명 호 157
120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심각성 인식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영향구조 분석
이 승 모 197
1199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4호 (통권 128호) [12월 31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 가격 공시업무의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최 정 환ㆍ진 상 현 159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