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earch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의 성숙과 함께 학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자료 구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 제31권 제3호 (통권107호) 조회수 1111
발행 년도 2019년 발간일: 2019년 9월 30일 등록일시 2019-10-18 18:20:43
자료명 주민투표법개정안의 문제점과 보완방안
저자 이기우
첨부파일 본 자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정회원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주민의 의사와 지방정부의 결정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은 양자의 불일
치를 극복하고 주민의 주권을 실현하기 위한 정치제도이다.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은 대의제도를 보완하
기 위한 직접민주주의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 2004년 주민투표법이 제정되어 실시된 이후 전국의 243
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투표가 실시된 것은 현재까지 9건에 불과하다. 이는 주민투표제도가 거의 활
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민투표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주민투표제도
의 설계가 잘못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정부는 2019년 1월에 주민투표법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정부가 발의한 주민투표법 개정안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회심의과정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행 주민투표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주민투표법 개정안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로 보완하고 있는
지를 평가하고 보완사항을 제안한다. 먼저 서울시 무상급식주민투표와 진주시 의료원재설립 주민투표
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현행 주민투표법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주민투
표법 개정안을 평가가기 위한 기준으로 사례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주민투표법의 근본적인 문제
점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주민투표법 개정안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어느 정도로
제시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국회심의과정에서 보완할 내용을 제안한다. 개
정안에는 매우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문제점에 대한 처방만 제시되어 있고, 최소 찬성률제도를 도입함
으로써 주민투표제도를 더욱 경직하게 만들고 있어 주민투표제도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 할
수 없다.
현행 주민투표법은 주민투표에 관한 규정이 없고 주민발안을 주민투표로 오해하여 혼란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이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
념혼란을 바로잡고,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항목별로 제시한다. 법률명칭부터
주민투표와 주민발안에 관한 법률로 개칭하고 주민투표에 관한 별도의 장을 신설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결정에 대한 주민의 최종결정을 규정하고, 현행법에 규정된 주민투표를 주민발안으로 표제를 바꾸어
독립된 장에 규정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이가 있다.

주제어: 주민투표법, 주민투표, 주민발안, 직접민주주의

DOI http://dx.doi.org/10.21026/jlgs.2019.31.3.175

A Research on Problems and Alternatives for the Revision Bill of Local
Referendum

Lee, Ki Wu

The will of people and the decision of local government are not always consistent.
Referendum and initiative are political systems founded to overcome the disagreements
between the two and to secure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The referendum and the
initiative belong to direct democracy, work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referendum system in 2004, there have
been only nine referendums from the 243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votes of the people. This result means that the referendum system
has been introduced, but is not up to the level of being actually used.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 referendum system is not activated is due to the deficiencies
in the design of the system.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referendum system. Chapter 3 analyzes
the cases of the referendum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ast and also examine
the problems. In particular, it will focus on the referendum concerning the Seoul
Metropolitan City free lunch and the referendum on the re-establishment of Jinju
Medical Center in Gyeongsangnam-do. Chapter 4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referendum law based on case analysis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re is no provision for referendum in the referendum law, and there
are too many prohibitions on the referendu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suggestions are posed that the referendum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initiative in
the law and the prohibition of the referendum should be deleted. Moreover, the content
of the revision bill proposed by the govern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19 is
assessed and a substantial supplement is proposed.

Key words : referendum, initiative, direct democracy

 
 


● 간행물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Online)

● ISSN :2713-7244

구분

 

년도

  년도

제목

 

저자

 

키워드

 

 

 

등록자료 1,186건
번호 년도 자료명 저자 조회수
1186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효율성의 공간의존성에 관한 연구 -비교잣대경쟁이론의 실증적 검증-
손종민ㆍ한지후ㆍ박지형 46
1185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담론 고찰 -Q-방법을 중심으로-
박현환 46
1184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보건행정환경 변화의 대응을 위한 보건소 적정 정원관리방안 연구
최지민ㆍ양은진ㆍ임인택 37
1183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 -형식적 참여집단 및 비참여 전향집단을 중심으로-
김지영ㆍ정문기 47
1182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지방의회 정책지원 전문인력의운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역의회 정책지원관을 중심으로-
윤정우ㆍ하병규 51
1181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6권 제1호 (통권 125호) [3월 31일]
청년, 중장년, 노년층의 지역 계속거주의사영향요인 분석 -자연환경, 안전,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창관ㆍ박선주 51
1180 2024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지방소멸의 전국적, 지역적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신 호 철ㆍ오 창 석ㆍ정 경 훈 268
1179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제도분석틀(IAD)을 활용한 지방정부의 비선호시설 입지갈등 해결과정 분석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이 정 일 125
1178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달체계 조직의 기반・구성・운영 관점에서-
이 진 107
1177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자원봉사 비참여자의 참여 의지 제고 요인 연구 -경상남도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한 송 이ㆍ조 병 우ㆍ이 용 모 118
1176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고이즈미 정부의 도시재생정책의 성격 -정책결정의 우발성과 집행의 비정합성-
손 경 우ㆍ이 영 철 93
1175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4호 (통권 124호) [12월 31일]
지방정부 성과측정의 제약과 개선에 대한 질적 연구
안 지 선ㆍ이 정 철 117
1174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지방의회의원의 겸직에 대한 담론 -이해관계자의 자결적 주관성을 중심으로-
김 성 근ㆍ이 원 교ㆍ김 민 한 335
1173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조례 입법영향평가의 실효성 제고 방안 -사후 입법평가기준 개선을 중심으로-
박 용 진 189
1172 2023년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제35권 제3호 (통권 123호) [9월 30일]
제주특별법에 나타난 권한 특례 유형 분석
민 기ㆍ하 혜 수 169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